일터가 '인권침해 지뢰밭'…가해자 1위는 압도적으로 '이 사람'
한국 사회에서 인권침해를 가장 빈번하게 저지르는 주체는 '50대 남성 직장 상사'라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올해 7월부터 8월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만 7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인권의식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인권침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절반에 가까운 45.2%가 그 장소로 '직장'을 지목했다. 이는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이웃이나 동호회 등 '지역사회'(28.3%)보다 16.9%포인트나 높은 수치로, 일터가 인권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인권침해 가해자의 프로필은 더욱 구체적이고 명확했다. 피해자들은 가해자로 '직장 상사나 상급자'를 지목한 비율이 26.6%에 달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위인 '이웃이나 동호회 사람들'(15.4%)보다 1.7배나 높은 수치이며, 3위인 '고객이나 소비자'(8.1%)와는 격차를 더 벌린다. 가해자의 성별은 남성이 58.4%로 여성(33.4%)보다 현저히 많았으며, 연령대별로는 50대가 34.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 뒤를 60대 이상(28.2%)이 이어, 중장년 및 노년층이 전체 가해자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17.5%), 30대(8.2%), 20대 이하(2.2%)가 그 뒤를 이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인권침해가 발생했을 때 피해자 대다수가 침묵으로 일관한다는 점이다. 인권침해를 경험한 사람들의 79.2%, 즉 10명 중 8명은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넘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현하거나 시정을 요구한 경우는 13.2%에 불과했으며, 심지어 침해 행위에 동조한 사람도 7.7%나 존재했다. 피해자들이 침묵을 선택한 주된 이유로는 '인권침해라고 생각하지 않았거나 심각하지 않다고 여겨서', 혹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인권 감수성 부족과 함께 피해자 구제 절차에 대한 정보 부족이 만연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과가 한국의 경직된 조직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유은혜 숭실대 교수는 "한국 사회 인권침해의 전형적인 가해자 프로필은 '40~50대 남성 직장 상사'"라고 요약하며 직장 중심의 맞춤형 대응 전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미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직장 내 인권침해는 조직의 위계 구조와 침묵을 강요하는 문화가 결합한 문제"라며, 피해를 인지하더라도 신고 후 겪게 될 불이익이나 조직 내 고립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대부분이 대응하지 못하는 현실을 꼬집었다. 결국 구조적인 문제 해결 없이는 직장 내 인권 개선이 요원하다는 분석이다.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










